- [성경본문] 창세기5:21-24 개역개정
-
21. 에녹은 육십오 세에 므두셀라를 낳았고
22. 므두셀라를 낳은 후 삼백 년을 하나님과 동행하며 자녀들을 낳았으며
23. 그는 삼백육십오 세를 살았더라
24. 에녹이 하나님과 동행하더니 하나님이 그를 데려가시므로 세상에 있지 아니하였더라
제공: 대한성서공회
성경에는 “하나님과 동행한 사람”이라는 특별한 평가를 받은 인물이 있다. 바로 에녹이다. 창세기 5장은 죽음의 족보라 불리지만, 그 안에서 유일하게 죽음을 보지 않고 하나님께 옮겨진 사람이 에녹이었다. 그는 65세에 아들 므두셀라를 낳은 후 300년 동안 하나님과 동행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흥미로운 점은 성경이 굳이 “므두셀라를 낳은 후부터 하나님과 동행했다”고 시점을 분명히 밝힌다는 것이다. 왜 그때부터였을까? 이 짧은 구절 속에 에녹의 믿음의 전환점이 담겨 있다. 동행이란 단순히 하나님과 함께 걷는다는 뜻이 아니라, 하나님의 뜻을 따라 사는 삶을 말한다. 주도권이 하나님께 있고, 사람은 그분의 인도하심에 순종하며 걸어가는 것이다. 에녹은 그 주도권을 하나님께 드렸고, 그 결과 그의 삶 전체가 하나님 중심으로 바뀌었다.
므두셀라의 이름은 “그가 죽으면 심판이 임한다”는 의미이다. 하나님은 이 이름을 통해 에녹에게 분명한 계시를 주셨다. 에녹은 아들의 이름을 통해 하나님의 말씀을 들었고, 그때부터 하나님께 온전히 집중하는 삶을 살기 시작했다. 매일 아들을 바라보며 “이 아이가 죽으면 심판이 임한다”는 말씀을 떠올렸을 것이다. 그 말씀은 그에게 단순한 경고가 아니라, 하나님을 향한 믿음과 경외의 시작이 되었다. 실제로 성경의 연대를 계산해보면 므두셀라가 죽던 해에 노아의 홍수가 임했다. 하나님의 말씀이 정확히 이루어진 것이다. 에녹은 이 계시를 믿고 살았으며, 그 믿음이 그를 하나님과 동행하게 만들었다.
히브리서 11장은 에녹을 “하나님을 기쁘시게 한 자”라고 말한다. 이어 “믿음이 없이는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지 못하나니”라고 덧붙인다. 결국 하나님과 동행하는 삶의 본질은 믿음이다. 이해되지 않아도 신뢰하는 믿음, 상황이 달라져도 흔들리지 않는 믿음, 그것이 하나님과 함께 걷는 길이다. 에녹은 이해보다 순종을, 논리보다 신뢰를 선택했다. 하나님이 하신 말씀을 있는 그대로 믿었기에, 그는 하나님의 기쁨이 되었다.
에녹의 삶은 화려하지 않았다. 그는 다른 사람들처럼 일하고, 먹고, 자고, 자녀를 낳으며 평범하게 살았다. 그러나 그의 시선은 세상에 있지 않고 하나님께 향해 있었다. 심판이 있다는 사실을 믿었기에, 그는 오늘을 다르게 살았다. 그 믿음이 하나님과 동행하게 하는 힘이었다. 이 믿음은 노아에게로 이어졌다. 노아는 조상 에녹의 이야기를 들었고, 하나님께서 방주를 만들라 하셨을 때 이해할 수 없어도 그대로 순종했다. 성경은 “그와 같이 하여 다 준행하였더라”고 기록한다. 이해보다 믿음을 선택한 순종, 그것이 바로 동행의 또 다른 이름이었다.
오늘 하나님은 우리에게도 말씀하신다. “나와 동행하라.” 하나님은 여전히 기다리신다. 므두셀라가 성경에서 가장 오래 산 사람이라는 사실은 하나님의 오래 참으심을 보여준다. 하나님은 심판을 미루시며 마지막까지 회개를 촉구하신다. 그것이 사랑의 본질이다. 에녹은 그 사랑을 믿었고, 그 믿음이 그의 인생을 바꾸었다. 오늘 우리에게도 그 믿음의 전환점이 필요하다. 하나님의 말씀이 단순한 정보전달이 아니라 나를 향한 하나님의 음성으로 들려지는 순간, 우리 삶은 달라진다. 에녹처럼 하나님을 신뢰하고, 그분의 뜻을 따라 걷는 인생이 되자. 그것이 진정한 믿음의 동행이며, 하나님이 오늘 우리를 부르시는 이유이다.
장진명 목사
댓글0개